청년도약계좌란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만 19세~ 34세의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, 23년 청년도약계좌 예산이 3,678억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. 6월부터 신청하니 아래 글 참조하시고 서둘러 신청하세요.
청년도약계좌란
청년이 소득에 따라 매달 70만원 한도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까지 수령 가능한 제도입니다. 그리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이 되니 새로 게 사회에 적응하는 청년들에게는 정말 좋은 제도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
●대상 1 : 본인 납입금(월 최대 70만 원)+정부 기여금+은행 이자(이자소득 비과세) 혜택
1. 신청나이 : 만 19 ~ 34세 청년
2. 개인소득 : 6,000만원 이하
3. 가구소득 : 중위 180% 이하
●대상자 2 : 본인 납입금(월 최대 70만 원)+정부 기여금+은행 이자(이자소득 비과세) 혜택
1. 신청나이 : 만 19 ~ 34세 청년
2. 개인소득 : 6,000 ~ 7,500만원 이하
3. 가구소득 : 중위 180% 이하
기준중위소득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
180% | 3,740,206 | 6,221,079 | 7,982,669 | 9,721,735 |
청년도약계좌 소득별 현황
정부 기여금은 개인·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결정된다.
소득이 낮으면 본인 납입금의 6%, 소득이 높으면 3% 기여금이 붙는 방식이다.
월 70만원에 6% 기여금이 붙으면 74만 2000원으로 5년 동안 모으면 4452만 원이 된다.
정부 지원은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익 등을 정부가 부담하고, 만기 시 이자·배당소득에 비과세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.
본인납입금+정부기여금+은행이자
(난기시 이자소득 비과세)
개인소득 (총급여기준) |
월 납입한도 | 기여금지급 한도(월) |
기여금 매칭 비율 |
기여금 한도(월) |
2,400만원 이하 | 70만원 | 40만원 | 6.0% | 2.4만원 |
3,600만원 이하 | 50만원 | 4.6% | 2.3만원 | |
4,800만원 이하 | 60만원 | 3.7% | 2.2만원 | |
6,000만원 이하 | 70만원 | 3.0% | 2.1만원 | |
7,500만원 이하 | - | - |
예)
연급여 2,400만원 => 40만원+2.4만원+은행이자(미정)
연급여 6,000만원 => 70만원+2.1만원+은행이자(미정)
급여가 적은 청년이 더 많이 저축하면 정부기여금이 많이 지급됩니다.
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됩니다.(군 복무기간은 나이계산에서 빠집니다.)
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.(저소득층 청년(2,400만 원 이하)은 우대금리 부여)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2023년 6월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. 취급 금융회사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하고,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가 진행됩니다.
가입신청 => 소득심사 => 유지심사
●가입신청 : 가입 자격 대상자
●소득심사 : 개인·가구소득은 직전 과세기간(‘22년)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 연도(‘21년) 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가입 가능여부를 판단합니다.
●유지심사 : 1년마다 점검 개인소득 현행화해 기여금 조정
청년도약계좌 만기 이후
청년들이 자산형성을 이어 갈 수 있도록 만기 이후에도 지원합니다.
●정책상품 이용 시 우대금리 제공
●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
●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
아쉬운 점
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사업 목적이 같기 때문에 중복으로 혜택이 주어지질 않네요.
청년희망적금을 가입했다면 중도 해지하거나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후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내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희망적금 |
가입조건 | 소득 6,000만원 이하,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만 19~35세 청년 |
소득 3,600만원이하 (또는 종합소득 2,600만원이하) 만 19~35세 청년 |
납입액 | 최대70만원(월) | 최대50만원(월) |
납입기간 | 5년 | 2년 |
최대수령액 | 5,000만원 | 1,300만원 |
정부기여금 | 3~6% | 2~4% |
하지만 청년내일저축계좌, 내일채움공제와 지자체상품과는 동시에 가입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.
'시사의 모든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통관고유부호 1분만에 발급받기 (0) | 2023.09.21 |
---|---|
비트코인을 대체 할 파이코인으로 미래를 설계하자 (0) | 2023.07.20 |
실업급여의 수급요건 ,신청절차를 알아보아요 (0) | 2023.05.31 |
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은 (미국디폴트?) (0) | 2023.05.19 |
간호법 거부권을 행사 결국 폐기 (0) | 2023.05.17 |
댓글